비대면으로 사람을 만나는 것은 편리하지만 피곤한 일입니다. 교육저널 38호 제목이 ‘혼란기(記)’였던 까닭도 비대면의 피로함과 우울함이 누적된 결과였던 것만 같습니다. 줌 회의실에서 나오기만 하면 끊어질 것 같은 인간관계를 붙들기 위해서 훨씬 많은 노력을 쏟아부어서일까요? 학교에서 편집위원들을 대면으로 만났을 때 왠지 훨씬 마음이 편하고 즐거웠습니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리는 건 겁이 났지만요.
이번 호 ‘출발선에서’는 기나긴 코로나 시국을 마무리 짓고 조금씩 앞으로 나아갈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만들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2년간 정말 많은 것을 무력화했고 아직도 기세가 등등하지만, 교육저널은 그 와중에 여전히 한 자리를 차지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힘들었던 시간을 딛고 다시 출발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런 저런 글들을 담아보았습니다.
‘몸풀기’에서는 선거 연령 하향, 코로나 시국 비대면 교육 등 갑작스러운 변화를 겪었던 편집위원들이 이런 변화와 함께 무엇을 새롭게 시도해야 하는지를 생각하고 글로 풀어냈습니다. 당근주스와 윤슬의 글에서 편집위원들이 변화를 마주하며 느꼈던 진솔한 고민과 문제의식을 찾아볼 수 있을 듯합니다. ‘숨 고르기’에서는 각기 다른 학과에 속한 편집위원들이 자신의 전공과 관련된 교과목에서 무엇이 부족한지, 어떤 교육이 필요한지 살펴보았습니다. 일육, 응향, 월영 각자의 전공 이야기인 만큼 아끼는 (혹은 애증의) 마음으로 글을 썼습니다. 이번 교육저널 영화제에서는 <죽은 시인의 사회>를 보았습니다. 빔프로젝터를 벽에 쏘아 영화를 보는 게 꽤 낭만적이었는데, 이 글로도 그 분위기가 전달되면 좋겠습니다.
교육저널도, 교육저널을 읽어주시는 분들도 모두 안녕하길 바랍니다.
'39호 - 출발선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집후기 (0) | 2022.05.07 |
---|